사회 사회일반

"등교해도 걱정, 안해도 걱정이죠..장애학생 등교수업 지원책 절실합니다"

송주용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8.24 15:56

수정 2021.08.24 15:56

장애학생 가정, 코로나19 장기화에 이중고
원격수업, 교육의 질 떨어지고 세밀한 관리 어려워
특수교사 확충 등 지원책 부족해 '전면등교' 역시 부담
"장애학생 등교수업 지원 및 교육콘텐츠 개발 대책 절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지난해 10월19일 경기 고양에 있는 특수학교인 한국경진학교를 방문해 학생들과 인사하고 있다. 사진=뉴스1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지난해 10월19일 경기 고양에 있는 특수학교인 한국경진학교를 방문해 학생들과 인사하고 있다.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언제까지 장애가 있다는 이유로 두번 울어야 할까요. 더 현실적 대책이 필요합니다"

서울 동작구에 거주하는 40대 학부모 A씨는 2학기 등교수업 전면 실시에 고심이 깊다. 발달장애를 가지고 있는 10살 아들의 등교수업 때문이다.

25일 교육계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장애학생 가정들은 '이중고'에 직면했다. 등교수업 제한으로 원격교육을 실시 할 때는 교육의 질이 떨어져 마음이 상했다.

하지만 정부가 2학기 전면 등교수업에 나서자 또다른 고민이 생겼다. 특수교사 확충과 과밀학급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아이들이 코로나 위험에 더 쉽게 노출될지 모른다는 우려다.
장애학생들은 마스크 착용, 손씻기 등 방역지침에 있어 비장애학생들보다 세밀한 지도가 필요하다.

2학기 개학 1주일만에 각급 학교 곳곳에서 학생들의 코로나 감염 소식이 전해질 때마다 장애학생 학부모들의 마음은 천근만근 내려 앉는다.

■"장애학생 등교수업 지원 인력 절실"
A씨는 "우리는 부부가 아침부터 저녁까지 일을 하는 맞벌이 가정이다. 현실적으로 집에서 수업을 따라가는 것이 쉽지 않았다"면서 "기본적으로 학교를 가는 것이 아이들 교육이나 정서에 더 좋다고 본다"고 말했다. 다만 "아이들이 학교에서 마스크 착용이나 거리두기 등을 잘 지킬 수 있을지 걱정이 되는 것도 사실"이라고 했다.

대구에 거주하는 장애학생 학부모 B씨는 "장애학생 가정은 이래도 걱정, 저래도 걱정"이라며 "우리가 개별상황에 맞춰서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게끔 다양한 교육 대책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에 장애학생 학부모 단체들은 등교수업을 위한 인력 및 교육 콘텐츠 확대 대책을 촉구하고 있다.

조경미 전국장애인부모연대 교육국장은 "정부가 올해 초 특수학교, 특수학급 등교수업을 결정하며 지원책을 마련했지만 지원자체가 너무 적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특수교육 교사) 추가 인력이 총 1000명도 안된다"며 "특수교육 교사가 적다보니 아이들이 등교를 해도 2~3교시만 하고 집에 오거나 날짜별로 돌아가면서 등교를 하는 경우도 발생했다. 특수교사 확대와 교육 콘텐츠 지원을 위한 예산과 인력 확보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장애학생 학습권 보장 위한 제도적 지원 필요"
국회에서도 장애학생들의 교육 지원 강화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국회 입법조사처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등교 확대 정책의 주요 쟁점 및 개선과제'를 통해 "장애학생에 대한 별도의 학습지원 정책·입법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며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개정과 재정지원을 강조했다.

강선우 민주당 의원은 "코로나19 유행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장애학생의 학습권을 보장하고, 장애학생 학부모 부담을 덜기 위한 단기적·중장기적 대책 보완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어 "장애유형과 각 가정의 상황에 따라 아이들과 학부모의 선택지를 넓히기 위해 다양한 컨텐츠 개발과 장애유형과 특성에 따른 대면수업 추진이 필요하다"면서 "충분한 교육활동 지원 인력 배치 확대 등 정부가 다각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현재 우리나라 특수교육대상자의 70% 이상은 일반학교에 재학 중이다.
정부가 장애학생 등교수업을 위한 추가 인력 배치 등의 대책을 내놨지만 현장의 체감도는 낮은 상태다.

juyong@fnnews.com 송주용 기자

fnSurvey